| 01. EA 관리 체계란? | 
EA 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체계,
EA 거버넌스라고도 불린다.
EA 관리 체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.
- EA 관리 조직
- EA 관리 프로세스
- EA 관리 인력 역량강화
EA 관리 체계 구축 시, 다음 사항을 만족해야 한다.
- 다수 EA 간, 통합적인 EA가 구축되어야 함. (EA 간 통합성)
- 단일 EA 내, 아키텍쳐 영역간 통합적으로 EA가 구축되어야 함. (EA 내 통합성)
| 02. EA 관리 조직 | 
EA 관리 체계를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직무와, 직무간의 관계, 업무를 정립.
EA 관리 조직 정의 시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.
- 조직의 규모
- 구축의 목적 (유지보수/ 새로운 EA 개발)
- IT 조직과 현업과의 관계
| 03. EA 관리 프로세스 | 
EA 구축 후, 모든 활동을 통제하고 일관성을 유지하는 프로세스.
EA 관리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여야 한다.
- EA 활용계획(기획)
- EA 변경관리
- EA 준수통제
- EA 활용지원
- EA 관리 시스템 관리
또한, 데이터의 최신성, 완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다음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.
- 모든 프로세스를 EA 관점에서 식별하여 완전성을 유지하고, 
- 환경변화 시, 즉각적으로 EA 관리 프로세스에 반영하여 최신성을 유지한다. 
| 04. EA 관리 인력 역량강화 | 
EA 정보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하여,
EA 정보를 관리하는 인력의 역량요소를 강화시키는 것.
EA 역량 요소는 다음과 같다.
- 리더십 역량 : 현행 EA의 기능을 이해하고, 내재화를 이끌 수 있는 능력.
- 기술적 역량 : EA의 구축 및 관리 방법론을 이해하고, EA를 설계할 수 있는 능력.
- 활용 역량 : 현행 EA의 기능을 이해하고, 실무에 적용시켜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는 능력.
'# 미사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1-3-3]: EA 활용 (0) | 2018.03.13 | 
|---|---|
| [1-3-2]: EA 관리 시스템 (0) | 2018.03.12 | 
| [1-2-3]: EA 정보 구축 (0) | 2018.03.11 | 
| [1-2-2]: EA 정보 구성 정의 (0) | 2018.03.11 | 
| [1-2-1]: EA 방향수립 (0) | 2018.03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