01. 참조모델(Reference Model)이란? |
아키텍쳐의 구성요소를 식별하여 표준화한 것으로,
전사 아키텍쳐를 수립할 때 참조하는 추상화된 모델.
각 산업군마다 사용되도록 권장하는 참조모델이 존재, (국방, 공공, ...)
이를 업무에 맞게 수정/적용하여 독자적인 참조모델을 구성.
02. 참조모델 구축방법 |
참조모델은 두 가지 방법으로 구축될 수 있으며,
해당 방법마다 각각 장단점이 존재한다.
- 해당 산업군의 공통적인 특성을 추출하여 범용적으로 구축.
이해하기 쉽고 많은 산출물이 필요하지 않지만,
요소간의 경계가 불분명함.
- 특정 기업체의 참조모델을 수정/적용.
요소간의 경계가 뚜렷하고 체계적이지만, 이해하기 복잡하고
기업체가 참조모델의 전체내용을 공개하지 않을 수 있음.
03. 전자정부 참조모델의 구성 |
범정부 EA 프레임워크는 공공 산업군 분야에서
정보화 산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,
아래의 5가지 참조모델의 정의를 추친하고 있다.
- 성과 참조모델 : 정보화 성과(성능)의 측정을 위한 항목, 지표, 방법을 제시.
- 업무 참조모델 : 업무 아키텍쳐의 기준이며, 사업/업무를 전체적으로 분류하고 정의.
- 서비스 참조모델 : 응용 아키텍쳐의 기준이며, 응용 서비스의 기능을 분류하고 정의.
- 데이터 참조모델 : 데이터 아키텍쳐의 기준이며, 주요 데이터 요소를 분석, 정의, 표준화.
- 기술 참조모델 : 기술 아키텍쳐의 기준이 되며, 정보기술을 분류하고 식별함.
04. 업무 참조모델 (BRM - Business Reference Model) |
특정 기관의 독립적인 업무기능과 세부단위(업무단위)를 정의하는 참조모델.
업무분석을 위한 공통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,
유사한 업무의 시스템 개발 시, 이 내용을 참조할 수 있음.
전자정부는 업무 참조모델을 다음과 같이 구성하고 있다.
- 정책분야
- 정책영역
- 대기능
- 중기능
- 소기능
일반 기업체는 업무 참조모델을 다음과 같이 구성하고 있다.
- 사업영역
- 업무영역
- 업무기능
05. 서비스 참조모델 (SRM - Serivce Reference Model) |
업무수행과 목표달성을 지원하는 서비스 요소를 정의하고 분류하는 참조모델.
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식별을 통해 서비스의 재사용을 촉진하고 중복개발을 방지.
06. 기술 참조모델 (TRM - Technical Reference Model) |
업무와 서비스 구성 요소간의 데이터 전달/교환, 구축을 지원하는
표준, 명세, 기술요소를 정의하는 참조모델.
핵심 서비스 영역, 하위 서비스 영역(서비스 범주, 기술표준)으로 구성된다.
성능과 기술투자를 최적화 할 수 있으며,
기대효과가 크고, 가장 빠르게 적용할 수 있는 참조모델이다.
정보 시스템간의 유사성을 판단하는 기준 항목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.
07. 데이터 참조모델 (DRM - Data Reference Model) |
기관 간의 정보공유 및 데이터의 표준화, 데이터 분류 및
데이터 표준화와 관리를 위한 기준/체계를 정의하는 참조모델.
기관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정보의 파악과 활용을 지원.
전자정부는 데이터 참조모델을 다음과 같이 5가지 영역으로 구성하고 있다.
- 범정부 데이터 모델
범정부에서 구축 및 활용하고 있는 데이터를 식별하고,
데이터 영역 간의 관계를 도식화.
어떤 기관에서 어떤 정보를 활용하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음.
- 데이터 분류
데이터에 대한 분류 기준을 정의.
데이터 그룹핑을 통해, 효과적인 데이터 관리 및 검색이 가능.
- 데이터 구조
데이터 요소의 표준을 정의.
모든 데이터가 데이터 표준을 따르게 함.
- 데이터 교환
교환할 정보, 메세지 구조, 메세지 방식을 정의하고 교환내역을 관리.
데이터 교환작업이 해당 메세지 표준을 따르게 함.
- 데이터 관리
데이터 품질, 표준화, 보안 등을 위한
데이터 관리 정책, 규칙, 프로세스, 조직 구조를 정의.
08. 성과 참조모델 (PRM - Performence Reference Model) |
정보화 성과 관리를 위한 구성요소와 관계를 정의.
정보화 사업의 성과를 가시화, 측정, 통제, 관리함으로써
해당 업무의 개선 가능성을 파악하고 성과를 증진시킬 수 있음.
전자정부는 성과 참조모델을 다음과 같이 3가지 영역으로 구성하고 있다.
- 평가 분류 체계
표준화된 평가 지표를 정의.
- 표준 가시 경로
평가 지표간의 관계를 도식화하는 것.
해당 정보화 산업이 업무성과에 기여하는 과정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함.
- 성과관리 표준양식
성과 참조모델을 활용하여 평가 및 성과관리를 하기 위한 표준양식을 정의.
09. 참조모델 활용 |
참조모델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으며, 용도에 따라 효과도 달라진다.
정부기관, 거대 기업군을 제외하고는 참조모델을 활용하는 것이 일반화되어있지 않지만,
기술 참조모델(TRM)은 기업 전체의 기술환경을 이해하는 논리적인 틀로 활용될 수 있다.
참조모델 별로 활용방안과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.
모델 |
활용방안 |
기대효과 |
업무 참조모델 |
개선 대상의 관련업무 파악시 사용. 업무 아키텍쳐 수립시 활용. |
생산성 제고 및 성과측정 용이. |
데이터 참조모델 |
개선 대상의 모델 파악시 사용. 데이터 아키텍쳐 수립시 활용. |
데이터 통합 및 중복배제. 데이터 표준화. |
서비스 참조모델 |
개선 대상의 어플리케이션 파악시 사용. 어플리케이션 아키텍쳐 수립시 활용. |
신뢰성 및 변화에 신속한 대응 가능. 개발 생산성 및 품질 향상. |
기술 참조모델 |
개선 대상의 관련기술 파악시 사용. 기술 아키텍쳐 수립시 활용. |
시스템간 상호운용성, 이식성, 확장성 향상. 표준화에 따른 벤더 독립성 보장 및 재활용 가능. |
성과 참조모델 |
개선 대상의 평가지표 파악시 사용. 성과평가체계 수립시 활용. |
체계젹인 정보화 성과 측정 및 관리. 효율적인 IT 관리 및 중복투자 최소화. 성과기반의 예산편성 가능. |
'# 미사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1-2-1]: EA 방향수립 (0) | 2018.03.11 |
---|---|
[1-1-4]: EA 프로세스 (1) | 2018.03.11 |
[1-1-2]: EA 프레임워크 (0) | 2018.03.10 |
[1-1-1]: 전사 아키텍쳐(EA) (0) | 2018.03.10 |
Google Datastore에 연결하기 (0) | 2018.03.01 |